댓글 운영정책
  • 익명 (23.02.16 06:27:19)

    신고(0)

    뉴스를 제대로봐 일시적인건 사실이지만 ,
    유럽의 겨울이 한파가아닌 온난이라 가스비는 다시 안정을
    되찾았다는 기사는 왜 외면하는건가?

    결과적으로 외부요인으로 인상된 가스요금이
    자연스럽게 인상된 부분은 있지만, 그 이후부턴 오히려
    전후보다 저렴해진 가스료를 웃돈을 얹어서 내야하는 상황인것.

    결국, 가스비를 다시 평년수준으로 인하하거나 국가에서 보조금을 넣는 형태로든 가격안정을 시키는것이 맞고,
    다만 국제가격 유동성을 감안할경우 짧게 2~3개월 유보할순있겠지.
    하지만 그렇지 않는다면 이거는 정부가 국민들을 상대로 마치 치킨장사를 하는꼴인거다.
    닭값은 떨어지는데 치킨값은 오르는 장난질을 국민에게 한다는거야 알겠어?
    7
    익명 (23.02.16 12:03:39) 답글 신고(0)
    오~ 배운 사람 ㅋㅋ
    익명 (23.02.16 12:24:05) 답글 신고(0)
    예리한 말씀 감사합니다.
    익명 (23.02.17 20:25:44) 답글 신고(0)
    작년에 한참 가스값이 올라서 MWh당 340유로까지 올라가고 난리날때 우리나라는 가스비를 많이 안올렸다고 그 때문에 한국가스공사 미수금이 9조원인데??? 원가보다 싸게 공급해도 이딴 소리나 하네
    익명 (23.02.18 17:16:10) 답글 신고(0)
    당번하기 아꼽다.....
    익명 (23.02.19 22:37:50) 답글 신고(0)
    대박이네요
    익명 (23.02.22 21:26:43) 답글 신고(0)
    그래
    익명 (23.02.25 16:46:25) 답글 신고(0)
    꼴깝한다 ㅋ
  • <
  • 1
  • 2
  • 3